나눔과섬김의교회

게시판
조회 수 36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목사님 이번주 설교 말씀중에 나온 그림, 렘브란트의 "탕자의 귀환" 입니다.


http://www.365qt.com/ArticleView.asp?AID=741


Rembrandt_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jpg


렘브란트(1606~1669)는 네덜란드 출신의 17세기 바로크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빛의 효과를 잘 활용하여 깊이 있고 신비한 화면을 만들어 냈다. 그는 초상화가로 이름을 날려 젊었을 때 이미 부유한 화가가 되었고, 방탕하다고까지 할 수 있는 생활도 했다. 그러나 과도한 지출과 수입의 감소로 어려운 지경에 빠지게 되었으며 가족들의 잇단 사망으로 심각한 경제적, 정신적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그는 성경적 주제의 그림을 많이 그렸는데, 아마 고통을 통해 더 깊은 영성이 표현된 작품이 탄생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가 성화를 다루는 방식은 이전의 도식적이고 형식화된 화면 처리와 달리 실제적이고 자연스러워, 예수님도 특별히 신비화하지 않고 일반 인물과 유사하게 묘사했다. 렘브란트의 후기 성화는 교회의 주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자발적으로 그린 것인데, 마치 그의 신앙고백을 표현한 듯 주님과의 만남을 통한 내면의 기쁨과 은혜가 보석처럼 빛나고 있다.
여기서는 그의 많은 작품 중에서 ‘탕자의 귀환’이라는 널리 알려진 주제를 어떻게 표현했는지 보고자 한다. 누가복음 15장에 기록된 이 이야기는 잃어버린 한 마리 양을 다시 찾은 목자의 기쁨을 서술한 대목에 이어서 나오는 것으로, 가산을 다 탕진하고 돌아온 아들을 위해 잔치를 열며 기뻐하는 아버지에 대한 것이다.
에르미타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왼쪽의 유화 작품에서 렘브란트는 자애로운 아버지가 돌아온 아들의 등을 어루만지며 품어 주는 모습을 표현했다. 가장 소중한 것을 잃고 난 후의 이루 말할 수 없는 상실감, 그리고 아들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린 긴 시간의 인고의 아픔들이 주름처럼 새겨져 아버지의 짓무른 눈빛 속에 스며 있다.
이 작품에 대하여 헨리 나우웬은 『탕자의 귀향』(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에서 아버지는 하나님으로, 탕자는 우리 자신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탕자는 예수님이 되고, 탕자와 아버지를 지켜보는 큰아들은 우리가 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사실 우리는 각자의 형편에 따라 탕자와 같이, 또는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이기적인 큰아들과 같이 행동하기도 한다.
렘브란트는 이 주제를 에칭(금속판에 산의 부식을 통해 제판하는 판화기법의 일종)으로도 다루었는데, 이것은 왼쪽의 유화보다 먼저 만들어졌고 상당히 다르게 표현되었다. 무너지듯 쓰러지는 탕자와 껴안는 아버지의 모습이 더욱 강렬하며 측면에서 보는 모습으로 처리되어 있다. 가는 선으로 섬세하게 묘사되어 왼쪽 유화의 부드러운 화면과는 달리 긴장감과 강렬함이 느껴진다. 혹 하나님에 대한 이해가, 강한 아버지 상으로부터 자애로운 어머니 상으로 더 깊어진 것은 아닐까?
우리 안에는 아버지를 떠나 방황했다 돌아온 작은아들의 모습도, 아버지 곁에서 잘 지내는 듯하나 실은 경건의 겉모습만 있을 뿐 변화되지 못한 채 남을 판단하는 큰아들의 모습도 있다. 모든 것을 용서해 주시며 탕자가 돌아온 것을 기뻐하시고 품어 주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갖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집을 떠난 아들이 돌아오기만을 한없이 기다리는 아버지의 끝없는 기대를 믿으며 우리를 위해 탕자같이 낮아지셨던 예수님을 본받는다면 이 그림을 그렸던 렘브란트의 심정에 조금이나마 다가갈 수가 있지 않을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9 [여선교회:동호회] 맛집기행 다섯번째 file 김인해 2014.09.20 3441
1218 [복음축제] 9월 21일 주간, 이렇게 준비해 주세요^^ <... file nasum 2014.09.20 4130
1217 [여선교회] 삶의 나눔 열다섯번째(김은희 집사) 5 김인해 2014.09.17 3602
1216 [복음축제] 9월 14일 주간, 이렇게 준비해 주세요^^ <... file nasum 2014.09.13 2654
1215 [여선교회] 삶의 나눔 열네번째(명수정 집사) 10 김인해 2014.09.10 3380
1214 [복음축제] 9월 7일 주간, 이렇게 준비해 주세요^^ file nasum 2014.09.06 7497
1213 2014년 8월 새가족환영회 6 file KwonKiWook 2014.09.02 4217
1212 [복음축제] 9월1일 주간, 이렇게 준비해 주세요^^ file nasum 2014.09.02 3786
1211 14기 남자제자반 하반기 훈련 시작! 14기남자제자반 2014.08.28 3404
1210 2014 복음축제 안내 file nasum 2014.08.23 3614
1209 [여선교회] 삶의 나눔 열세번째 (차은화 집사) 5 김인해 2014.08.21 3648
1208 이강천 이성옥 집사님의 모친상을 알려드립니다. 1 KwonKiWook 2014.08.20 3808
1207 [여선교회] 2014 하반기 동호회 안내 4 file 김인해 2014.08.07 3373
1206 [여선교회] 2014 하반기 화요모임 개강 1 file 김인해 2014.08.07 3925
1205 청년부 말레이시아 단기선교 간증문2 한동훈 2014.08.06 3304
1204 청년부 말레이시아 단기선교 간증문 한동훈 2014.08.05 3380
1203 Sharing: Making justice your lifestyle (정의를 실천... nasum 2014.07.31 3230
» 렘브란트의 "탕자의 귀환" file nasum 2014.07.22 3661
1201 그리그의 페르퀸트 모음곡에 나오는 "솔베이지의 노래" nasum 2014.07.13 3497
1200 아그네스의 요리(La Cuisine des Anges) file nasum 2014.07.13 3600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16 Next
/ 116

교제

KPC(SINGAPORE) LTD. 12 Shelford Road Singapore 288370 Tel 65-6467-4476  /  Fax 65-6469-3175  / Mail nasumchurch@gmail.com TOP